728x90

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도구인 Nmon을 설치해보고 이용해보기로 하겠다.

 

총 2부작으로 이루어질 예정이고,

두 번째 포스팅에서는 실험 환경을 가정해 Nmon Visualizer을 통해 결과를 시각화해보도록 하겠다.

 

 


Nmon이란?

Nmon은 AIX(IBM에서 만든 유닉스 시스템)과 리눅스의 성능 모니터링 도구이다.

 

대화형이며, 옵션을 활용하여 성능 측정 결과를 별도의 파일로 레코드 할 수 있다.

 

출력 가능한 자원 목록

  • CPU
  • Memory
  • Network
  • Disk
  • File System
  • NFS
  • Top Process
    •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상위 프로세스에 대한 통계
  • Resources
    • 다양한 리소스에 대한 정보

 

설치 및 실행

Centos 환경에서 yum install로 다운받아줄 수 있다.

 yum install epel-release
 yum install nmon

 

다운을 완료했으면 아래와 같이 nmon을 입력하면 바로 실행이 된다.

nmon

 

 

 

여기서 h를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옵션이 출력된다.

 

 

모니터링 시행

1. CPU

c(소문자)를 입력하면 CPU의 성능을 수집할 수 있고, C(대문자)를 입력하면 Wide View를 볼 수 있다.

 

이때 여러 지표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.

  • User% : application level에서 실행 중일 때 CPU 사용률
  • Sys% : 커널에서 실행 중일 때의 CPU 사용률
  • Wait%: 디스크의 입출력이 늦어져 해당 프로세스가 idle 상태 가 되는 경우의 비율
  • Idle: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

 

2. Memory

m(소문자)를 입력하여 메모리의 사용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.

  • PageSize : 이때 페이지는 가상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록이다.
  • Ram-Memory : 물리적 메모리
  • Swap-Space

 

3. Disk

d(소문자)를 입력하여 디스크 사용량을 볼 수 있다.

 

 

4. Network

n(소문자)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사용량을 확인해볼 수 있다.

 

이때 lo는 loop back이고

실제로 체크해봐야 할 것은 ens33이다.

이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로, 이름은 사용자마다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.

 

 


이렇게 해서 Nmon의 설치와 간단한 사용방법을 알아보았다.

 

다음 포스팅에서는 실험 환경을 가정한 후,

Nmon Visualizer을 추가로 설치하여 결과를 시각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.

728x90

+ Recent posts